전체 글1930 리눅스 Run Level RunLevel RunLevel 모드 설명 0 init 0 Power Off 시스템 종료 1 init 1 Rescue 응급복구, 단일사용자모드 2 init 2 Multi-user 사용하지 않음 3 init 3 Multi-user 텍스트 모드 4 init 4 Multi-user 사용하지 않음 5 init 5 Graphical 그래픽모드(X 윈도우) 6 init 6 Reboot 리부팅 2016. 7. 3. git push 명령어 사용법 git init : master 모드로 변경git add ./* : 저장소에 추가할 파일git commit -m "comment" : 커밋 하고 메세지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id/저장소이름 : 저장소에 원격으로 추가할지 결정git push -u origin master : 저장소에 푸쉬함(올림) 처음이면 자격증명 로그인 창이 나타남. 로그인 해주면 됌 2016. 7. 2. 9. [go언어] 불, 상수, 열거형 아직까지는 기초적인 내용이다. 본인도 공부하고 있는 입장이라 틀린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..(또르르)... bool 자료형 사용은 다른 언어와 비슷하게 사용한다. 특이점이 따로 없다. 상수 사용하기 열거형 사용하기 2016. 7. 1. 6. [go언어] 사용하지 않는 변수 및 패키지 처리 ※ go언어는 특이하게 사용하지 않는 변수 혹은 패키지 등이 있을 경우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go 언어에서 밑줄 문자 ( _ )는 임시적으로 유지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. 다양하게 사용되므로 꼭 알아두자 b 변수를 사용하지 않아 실행시 컴파일 에러가 난다. _ 밑줄은 다른 곳에서도 많이 사용된다. 임시적으로 사용한다 라고 일단은 생각해두면 좋을 것이다. 2016. 7. 1. 5. [go언어] 변수사용 go언어를 사용하다보면 뭔가 여러 프로그래밍들이 짬뽕 되었다는 느낌을 받는다. 개인적으로는 C와 Javascript 가 섞인 느낌이랄까.. 변수선언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. 1. var 변수명 자료형변수명 : 밑줄(_), 혹은 영문으로 시작해야함자료형 : int, string, float, bool 등등 go언어는 자료형이 굉장히 많음 2. 짧은 선언:= 를 이용하여 선언을 한다 ( 처음 적용 시 뭔가 이상했으나 하다보니 익숙해짐 ) 2016. 7. 1. 4. [go언어] 기본문법 기본문법은 하다보면 저절로 알게되는 내용이지만 첫 go언어를 하게 되면 익숙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. 1. 세미콜론을 사용하지 않는다. 컴파일 시 세미콜론이 없어짐2. 주석은 /* */, // 다른 언어와 동일하다.3. 중괄호( { )의 위치가 구문 끝에 와야 한다4. 들여쓰기는 보통 탭으로 저장 혹은 빌드시 알아서 잡아줌(굉장히 편함) 2016. 7. 1. 이전 1 ··· 300 301 302 303 304 305 306 ··· 32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