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Web 프로그래밍/AWS

클라우드 용어 온디맨드(on demand) 뜻

by 데브업 2025. 4. 24.

클라우드 용어 온디맨드(on demand) 뜻

"온디맨드(On-Demand)"은 말 그대로 "요구하는 순간에 제공되는 방식"을 의미하며, 주로 클라우드 컴퓨팅이나 IT 서비스 요금제에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. AWS나 Azure, Google Cloud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"온디맨드 요금제(On-Demand Pricing)"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집니다:


🧾 온디맨드(On-Demand)의 정의

✅ 일반적 의미

  • 사용자가 필요한 시점에 즉시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, 사용한 만큼만 시간 단위로 요금이 부과되는 방식.
  • 선불이나 장기 약정 없이도 사용할 수 있음.

✅ 클라우드에서의 의미 (예: AWS EC2, RDS 등)

  • 서버 인스턴스,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실시간으로 생성해서 사용하고, 사용한 시간만큼 비용을 지불
  • 예) EC2 인스턴스를 3시간 사용했다면, 3시간치 요금만 청구

💡 온디맨드의 장점

장점 설명
✔️ 유연성 필요할 때만 사용 가능, 자원 낭비 없음
✔️ 선불 부담 없음 초기 투자비용 없이 시작 가능
✔️ 스케일 업/다운 용이 사용량에 따라 즉시 리소스 증감 가능
✔️ 테스트 및 단기 프로젝트에 적합 짧은 시간 사용에도 경제적

🔒 온디맨드의 단점

단점 설명
❌ 장기 사용 시 비용 증가 가능 Reserved 또는 Savings Plan보다 비쌀 수 있음
❌ 리소스가 항상 보장되진 않음 인기 리전에선 인스턴스가 부족할 수 있음

📌 예시: AWS EC2 인스턴스 온디맨드 요금

인스턴스 타입 요금 (서울 리전 기준) 약정 없음
t3.micro $0.0128/hour 온디맨드
t3.small $0.0256/hour 온디맨드

장기적으로 쓸 경우 Reserved InstancesSavings Plan을 선택하면 최대 72%까지 비용 절감 가능


📚 온디맨드 관련 용어와 비교

용어 설명
On-Demand 사용한 만큼만 요금 지불 (자유롭고 유연하지만 비쌈)
Reserved Instances 1년 또는 3년 약정, 큰 폭의 할인 제공
Spot Instances AWS의 남는 자원을 경매 방식으로 저렴하게 사용 (중단 가능성 있음)
Savings Plans 특정 시간 단위 요금 약속으로 유연하게 절감 가능

📖 참고 링크